[AI 질문]어떤 프롬프트 작성법을 배우시나요?
- 이병섭
- 2025.08.18 16:41
- 조회 38
- 추천 0
어떤 프롬프트 작성법을 배우시나요?
아니 어떤 프롬프트를 만들기 위해 시도하시나요?
저는 흔하게 돌아다니는 대화창 입력 프롬프트에 대해서는 조금 부정적 입니다.
그러한 프롬프트는 대부분 과장된 효과나 카더라 식의 몰림 현상으로 무조건적으로 공유되거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롬프트는 그것을 만든 사람의 주관이 매우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일종의 질문법을 하나의 예시어로 만든것과 마찬가지인데 그러한 프롬프트를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ai에게 필요한 응답을 얻기 위한 질문법을 책상 옆에 붙여 놓고 그 프레임을 지켜가며 대화창에 입력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갖춘 질문 프레임 셋업을 하시면 됩니다.
1.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물어보세요 : 원하는게 어떤건지를 제대로 설명해야 합니다.
“나 김칫국 레시피 알고 싶어.“ 여기에는 어떤 맛, 몇인분, 맵거나 얼큰함의 정도 같은 디테일이 빠져 있습니다. ”나 보통 보다 칼칼하게 매운 김칫국을 3인분 양으로 만드는 레시피 알고 싶어.“가 더 좋습니다.
키워드는 명확하게, AI에게는 how to 를 얻는 방식의 질문이 좋습니다.
2. 맥락을 설명해줄 때 AI의 응답 수준은 탁월해 집니다.
내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지, 왜 이 응답을 필요로 하는지를 담아서 입력하면 그 자체가 매우 우수한 프롬프트가 됩니다. 이때 상대가 사람이 아니라 AI임을 잊지 마시고 과감하고 솔직하게 말씀하실수록 더 좋은 응답을 얻습니다.
“내가 지금 승진을 눈앞에 두고 있는데, 함께 일하는 김대리가 숫자를 잘 활용한 시장 조사 보고서로 늘 나 보다 좋은 점수를 받아. 그 친구를 이기고 싶어. 지금 너에게 첨부한게 그 친구 지난 분기 발표 자료야.
내가 너에게 내 조사 자료를 줄테니 이 친구 자료 보다 훨씬 임팩트 있으면서도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는 형태로 경쟁 우위의 보고서 초안을 제안해줘. 그걸 바탕으로 함께 이기는 보고서를 만들어보자. 나 승진해야 해.”
저는 우스갯소리로 맥락 설명을 하소연 이라고도 표현합니다.
3. 응답 결과물의 구체적 예시를 들어주면 효율적 입니다.
메신저 대화처럼 만들어줘. 노련한 기자가 쓴 것처럼 군더더기 없이 지금 당장 보도 할 수 있는 내용으로 써줘. 감성이 60%, 논리가 40% 들어가게 써줘. 등등… 원하는 형식과 형태를 간단하고 예로 들면서 요청하면 더욱 좋습니다.
이외에도 6하원칙 활용법, 조건문 사용법, 기능제한 및 확장법 등의 기술들이 있습니다만 결국 이 모든걸 다 지키면서 AI와 좋은 문답을 주고 받는건 생각 보다 쉽지 않습니다.
이때 선택 할 수 있는 차선책은, 이런걸 잘 할 수 있는 커스텀 지피티를 만들어서 편하게 사용하거나, 이 정도 수준의 응답을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서 얻어낼 수 있는 AI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출처: 페이스북 박종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