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역할
- 이병섭
- 2025.06.05 16:31
- 조회 58
- 추천 1
어제 단체장 30여 분과 함께한 모임에서 ‘리더의 역할’에 대해 강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또한 최근 G&G스쿨의 CEO 분들과 멘토링을 진행하며,이 시대의 진정한 리더는 어떤 존재인가? 라는 질문을 오랫동안 고민해 왔습니다.
제 생각을 네 가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의사결정의 힘 – 생각의 수준이 리더를 만든다
리더는 결국 의사결정을 잘 내리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리더의 성과는 대부분, 당시 어떤 결정을 내렸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그 결정의 질은 리더의 생각의 깊이와 시야의 넓이에 달려 있습니다.
리더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복지는 직원의 복지를 챙기기 이전에, 스스로의 사고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아낌없는 투자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독서, 멘토링, 세미나, 최고경영자 과정 등 어떤 방법이든 생각의 수준을 높게 만드는 활동을 꾸준히 해야만 최고의 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물과 생각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리더의 생각이 높을 때, 조직 전체가 건강하게 움직입니다. 또한 직원들도 리더에 대한 존경심과 신뢰가 생깁니다.
2️⃣ 개념과 방향을 명확히 하라
리더는 조직이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개념이란 ‘꿈’, ‘미션’, ‘비전’, ‘왜 이 회사가 존재하는가’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대하여는 귀가 따갑도록 설명하고 또 설명해야 합니다. 그래야 직원들이 회사의 방향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단순한 숫자 중심의 목표만으로는 좋은 회사를 만들 수 없습니다.
리더는 방향성과 개념을 설파하고, 세부 실행은 직원이 주도하도록 맡기며, 내부에 ‘공신’을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리더가 먼저 이야기 하고 자신의 공을 과시하면 우수한 인재가 떠납니다.
3️⃣ 조직과 사람을 분류하고 배치하라
훌륭한 리더는 조직과 사람을 정확히 분류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환경이 바뀔 때마다 임무를 재구성하고,변화에 맞는 조직 구조를 새롭게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AI의 도입으로 개발자와 관리자 영역이 축소되므로 모든 직군에서 AI를 상수로 놓아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리더의 머릿속에 명확한 조직 분류 체계와 판단 기준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얻게 되는 교훈이야말로, 리더가 평생 쌓아야 할 자산입니다.
생각하면 할수록, 사물을 분류하는 능력이 리더십의 핵심임을 느낍니다.
4️⃣ 자금에 대한 리더의 책임
많은 경우 자금은 CFO나 재무팀에 맡기지만, 리더는 자금의 흐름을 반드시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자금 조달, 사용, 투자에 대해 리더가 기준과 철학을 명확히 갖고 있어야 조직에 신뢰가 생기고, 내부 리스크도 줄일 수 있습니다.
결국 리더는 투명하고 정도 있는 경영을 실천해야 합니다.
실제로 CFO 리스크로 인해 고통받는 기업을 주변에서 자주 보게 됩니다.
이는 리더가 자금 흐름을 방치한 결과입니다.리더는 어느 경우에도 ‘너만 믿는다. 당신이 알아서 해라. 내가 잘 모르니 당신이 소신껏 해라’는 이야기는 해서는 안된다.
즉 확인과 크로스체크의 임무를 내려놓는 순간에 사고나게 되어있다. 나중에 후회해야 소용없다. 확인 또 확인하라.
저는 이 네 가지가 지금 시대의 리더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핵심 역할이라고 믿습니다.
• 의사결정의 수준
• 개념과 방향의 명확성
• 사람과 조직의 구조화 능력
• 자금에 대한 투명성과 정도경영
이 네 가지를 늘 고민하고 실천하는 리더가 많아질 때,대한민국의 기업과 조직은 훨씬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2025.06.02 페이스북 이금룡

